반응형

 

 ETF를 직접 구매하려고 조사를 하다 보면 다소 생소한 단어들을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개별종목의 재무제표를 볼 때보다는 많이 편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마주하게 될 낯선 단어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합니다. 먼저 아래 문장을 천천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ETF에는 그날마다 정가(NAV)가 존재하며 그 정가와 실제 가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괴리율&추적오차) 이 경우에 운용사(운용사+LP)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1. 순자산가치(NAV)
2. 괴리율
3. 추적오차
4. 유동성 공급자(LP)

 위 세 단어는 ETF 설명을 보게되면 자주보게되는 세가지 단어입니다. (유동성 공급자는 자주는 아니긴 합니다...)

 순자산가치 NAV (Net Asset Value)

오늘의 주인공은 KODEX 삼성그룹으로 삼성그룹을 모아놓은 ETF이다. 

 네이버에서 ETF를 검색하게 되면 가격과 함께 우측의 NAV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NAV의 설명을 보면 주식, 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을 포함하여 계산된 순자산 가치라고 적혀있는데 쉽게 말하면 ETF의 가격표입니다. 그리고 운용사는 ETF의 가격을 NAV와 동일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니, 가격을 잘 모를 때에는 NAV의 가격으로 구매하면 가장 정가에 가깝게 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괴리율과 추적오차율에대해 알아보자

추적오차

 지수와 NAV간의 차이가 얼마나 벌어지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수치로 다양한 이유에 의해서 발생 됩니다. ETF 보수나 배당이자, 환헤지, 수수료 등의 이유로 지수와 NAV간의 상관관계가 틀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추적오차입니다. 예를 들면 지수가 3% 만큼 상승했을때 ETF의 NAV역시 3%가 상승해야하나 실제론 그렇지 않은데,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작을 수록 지수를 정확히 추종하고 있다는 뜻이며 수치가 클경우 문제가 있는 상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적정 수준에대해서는 ETF 별로 상이한 경우가 많으나 낮을수록 좋으며, 비교를 하고자 할 경우 비슷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서로 비교해보면 참고가 됩니다. 미국 주식 ETF의 경우 1%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괴리율

 괴리율이란 NAV와 지금의 주가가 차이가 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이것은 당일 수요에 의해서 실제 가치인 NAV와 주가가 벌어진 정도를 의미하는데 마이너스의 경우에는 실제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는 뜻이며 플러스의 경우 실제 가치보다 다소 높은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거래량이 적은 ETF에 많은 거래가 몰릴 경우 많은 수요에 의해 실제 가격에 비해 높은 가격에 거래가 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괴리율은 10%가 넘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 가격에 비해 10%를 더 비싸게 구매한다는 뜻이며, 실제로 2020년도 유가가 폭락했을 때 WTI 원유 선물에서 일어났던 일로 괴리율이 40% 이상 올라간 적도 있습니다.

 

 괴리율 많이 높아질 경우 LP(유동성 공급자)가 그 가격을 조정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이 경우에도 LP의 공급량이 바닥나면 괴리율이 엄청나게 오르게 됩니다. 실제로 거래할 때에는 1~3%만 넘어도 상당히 높은 괴리율이므로 단기 과열에 주의하여 거래가 필요합니다. 이 수치 역시 작을 수록 좋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유동성 공급자(LP)

특정호가에 만개 정도 규칙적으로 걸려 있는 매물은 부자가 아니라 LP가 공급한 물량이다!

 유동성 공급자를 말하는 LP는 거래가 적은 ETF에서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만약에 만들어진 ETF를 아무도 사거나 팔지 않을 경우에도 거래가 가능하도록 증권사에서 NAV 대비 어느 정도 차이를 두고 매수와 매도를 직접 진행합니다. 이처럼 거래가 가능하도록 유동성을 공급해준다고 해서 유동성공급자(Liquidity Provider)라고 불립니다. 단 LP의 매물통해 거래를 할경우 NAV에 비해 다소 비싸게 사거나 저렴하게 팔아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LP 덕분에 아무도 팔지 않거나 사주지 않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LP와의 거래는 개인 간의 거래에 비해 다소 손해를 보는 거래인 만큼, 너무 거래량이 적은 ETF의 경우에는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다른 운용사의 ETF를 구매하거나 아예 구매를 다시 고민해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Intro

제테크를 공부하며 알게 된 ETF를 소개하는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부족한 게 많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비의 세대로 대표되는 MZ 세대의 본격적인 경제활동이 시작되면서,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명품을 비롯한 사치품들에 관한 관심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이를 보여주듯 명품은 펜데믹 이후의 소비 침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소비가 증가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지어 한정판 명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며 더욱 가격이 상승하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가방으로 대표되는 명품의 세계
하지만, 차부터 시계 가방까지 Luxury의 종류는 다양하다

하지만 수백에서 수천을 필요로하는 명품을 직접 사기에는 부담스러운 만큼 적은 돈으로도 명품에 투자할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HANARO 글로벌럭셔리 S&P (합성)


한주당 가격은 20,075원(22.01.06 기준)으로 1주당 가격이 부담스럽지 않은 편이며, 최근 1년 수익률은 무려 37.35% 나 됩니다. 이 ETF는 S&P Global Luxury Index를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뿐만 아니라 저처럼 명품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추천하기 좋은 종목 같아 첫 번째로 가져왔습니다.

Global Luxury Index코로나 기간을 제외하고도 꾸준한 연평균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지수로 최근 5년간은 S&P 500을 능가하는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5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무려 20.47%나 됩니다.

흰색 : 럭셔리 Index, 파란색 : S&P 500
생각지도 못했지만 Tesla를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더 끌리는 걸지도

Luxury 라는 주제에 걸맞게 우리에게도 친숙한 브랜드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종류 역시 의류나 가방 뿐만아니라 주류 및 화장품 브랜드도 포함되어 있다. 빈익빈 부익부가 가속화 될수록, 영앤리치가 많아질 수록 더욱 매력을 띄는 종목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많은 브랜드를 보유중인 Richemont
Kering 역시 구찌등 다양한 명품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이다

 

마치며...

명품을 직접 들고 다니지는 않지만, 부모님 선물등 보여주기 위한 물건일 때는 아무래도 명품을 먼저 찾게 됩니다. 명품은 종류가 다양하고 유행을 타는 만큼 한가지 기업을 고르기 쉽지 않았는데, 그러한 고민을 덜어주는 ETF입니다. 미국에도 이와 비슷한 ETF가 있으며 직접 투자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단점으로는 다소 높은 운용보수(연 0.5%)와 현재 코로나로 인해 억제된 소비 욕구가 명품으로 쏠린 현상때문에 거품이 있을 수 있다는 점만 제외하면 장기투자하기에는 나쁘지 않은 종목입니다.
(좀 더 찾아봐야겠지만 해외주식을 포함하고 있는 ETF의 경우 연 0.4% 이상이 많다고 합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kodex 200의 경우 연 0.15%임을 감안하면 다소 높은 운용수수료

 

반응형

+ Recent posts